목록어노테이션 (1)
우리네 장

※GET / POST 방식의 차이 GET POST request header에 데이터를 담아 패킷을 전송한다. request body에 데이터를 담아 패킷을 전송한다. Content-Type header 속성이 적용되지 않는다. Content-Type header 속성이 적용 된다. 1차원적인 데이터만 parameter로 전달할 수 있다. 객체속의 객체, 2차원 배열 등을 parameter로 전달할 수 있다. 웹 서버에서 cache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 웹 서버에서 cache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. GET / POST 속도 견해 4번째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. GET 방식은 캐싱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WAS 까지 진입하지 않고도 client에 response 할 수 있어 속도면에서 더 빠르다. GE..
SpringFramework
2022. 4. 19. 12:33